여러 자료들을 취급하다 보면 낯설게 생긴 포맷과 마주치면서 파일을 열어볼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혹시 eml을 열기 위한 툴이 없는 상태라면 아웃룩을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왜냐하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하는 윈도우 필수 패키지가 있으면 eml과 호환되는 툴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필수 패키지를 받는 것이나 설치 및 사용에 대한 정보는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 이번에 참고하실 수 있는 글을 적었으니 열기를 하고 싶었던 상황이라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eml 파일 열기 아웃룩 없이 확인하기 패키지 다운로드 서두에서 얘기를 했지만 eml은 아웃룩이 없다고 해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하는 윈도우 필수 패키지가 있으면 열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패키지의 설치 파일은 공식 루트인 ‘windows.m..
개인적으로 상당히 애용하고 있는 브라우저인데 저는 아직까지 심각한 오류를 겪은 경험이 없지만 의외로 크롬이 갑자기 실행되지 않는 문제는 겪는 분들이 많더군요. 이럴 땐 안켜짐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을 알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어야 하는데 비록 경험담은 아니지만 그래도 보탬이 되고 싶다는 생각에 아래 크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글을 적었으니 혹시 켜지지 않는 상황에 있는 분들이라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크롬 안켜짐 오류 해결하기 프로그램 충돌 방지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것은 다른 프로그램과 크롬의 충돌을 의심해서 최근 설치한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어느 시점부터 안켜짐이 발생했는지 정확하게 기억을 한다면 해당 시점부터 그 이후에 설치한 프로그램을 제거해주면 되고 혹시 모르겠다면 제어판 프로..
멀쩡하게 작동을 하던 컴퓨터의 장치가 어느 순간 갑자기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PC에서 소리가 제대로 출력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원인이 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제가 이번에 갑자기 사운드 출력이 안될 경우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적어보려 하는데 완벽하지는 않겠지만 읽어보시면 어느 정도는 문제 개선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갑자기 소리가 안나요 원인과 해결하기 텍스트로 연달아서 원인들을 적으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목록으로만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피커 볼륨 낮음 또는 음소거 : 작업 표시줄 우측 트레이 아이콘의 스피커 아이콘 누른 후 볼륨 조절2. 오디오 연결 오류 : 오디오 잭 분..
타이핑 작업을 많이 하시거나 자판을 많이 눌러야 하는 게임을 즐기는 분들이라면 반응 속도가 빨라질 수 있도록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는 것이 좋은데 키보드의 설정을 바꾸는 레지스트리는 직접 경로를 찾아가면 귀찮을 수 있으니 최적화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을 쓰면 간단합니다. 그래서 아래 최적화에 대한 내용을 적어봤는데 혹시 필요하다면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자판의 반응 속도가 빨라지도록 최적화를 해주는 툴은 'qazqazqaz1.tistory.com/68'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이 뿌리는 파일이지만 제작하신 분이 직접 운영하는 블로그이니 깨끗한 파일이 배포되고 있으며 키보드 레지스트리 최적화 프로그램을 쓰고 싶을 땐 안심하고 찾아가셔도 됩니다. 페이지에도 언급이 되어 있지만 직접 뿌려도 되는 최적화 툴을 주소..
새로운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사용하기 불편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버전을 유지하면서 인터페이스만 바꾸면 됩니다. 그리고 이런 경우 menu 8.1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의 활용이 적당하다고 할 수 있죠. 다만 start를 쓰려면 다운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 8.1을 구하기 위한 내용을 적었으니 혹시 필요하다면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깔끔하게 start의 가장 중요한 부분부터 언급을 하자면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8.1은 공식 루트에서 안내를 해주고 있는 'goo.gl/B1UQW'를 찾아가면 받을 수 있습니다. 고유 주소가 너무 길어서 제가 짧게 만든 것이니 start menu 8.1의 기능을 원하고 있다면 안심하고 방문하셔도 됩니다. 영어로 작성된 페이지가 나오는데 다운이라 적힌 버튼을..
예전에는 PC와 어떤 장치를 이어주기 위해선 선을 활용하는 것이 당연했는데 요즘엔 무선마우스 연결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죠? 그래서 연결을 위한 정보를 찾는 분들의 발걸음이 꾸준한 것일 텐데 노트북에 이어주고 싶었지만 방법을 몰라서 방황했다면 아래 설명을 위한 글을 엮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기본적인 절차는 엄청나게 간단합니다. 그냥 수신기를 노트북의 USB 포트에 연결하고 장치의 하단에 있는 'ON / OFF'를 'ON'으로 맞춰주면 되죠. 그럼 별도의 드라이버를 준비하지 않아도 노트북 무선마우스 연결이 바로 진행되며 클릭을 하거나 장치를 움직이면 화면에서 커서가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그런데 간혹 이렇게 노트북에 장치를 이어주어도 무선마우스가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