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 (설정 해제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전하게 윈도우10에서 최대절전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방법



개인적으로는 재부팅 시간을 줄이려고 엄청난 용량을 반납해야 하는 기능 정도로만 생각을 하는데, 저와 비슷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고, 꼭 필요한 기능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죠? 그래서 윈도우10 최대절전모드는 상황에 맞게 켜거나 꺼주는 것이 좋아요.



그럼 불필요하다고 생각이 될 때 최대절전모드 해제를 해주는 방법은 무엇이고, 또 필요한 기능이라고 생각될 때 켜주는 방법은 무엇인고 하니, 간단합니다. 그냥 버튼 몇 번만 눌러주면 세팅이 가능해요. 그리고 클릭해야 할 버튼에 대해선 아래쪽에 정리를 해두었으니, 혹시 절전모드 설정을 변경하고 싶었다면 읽어주세요!



▼ 일단 바탕화면이 보이는 상태에서 키보드의 [시작 버튼 + X]를 눌러주세요. 그럼 몇 가지 메뉴들이 작업표시줄 위에 나열되는데, 위쪽에 있는 전원 옵션을 클릭하면 됩니다.



▼ 전원 옵션을 누른 뒤에는 새로운 화면이 열리는데, 왼쪽에서 전원 단추 작동 메뉴를 찾아서 클릭을 해주세요.



▼ 세부 페이지로 이동한 뒤에는 사용할 수 없는 세팅 값 변경 버튼을 눌러주세요. 정확한 클릭 위치는 이미지에 표시를 해둘게요.



▼ 이제 종료 그룹에 있는 체크 항목을 풀거나, 추가해주면 됩니다.



▼ 한 번이라도 기능 활성화를 하면 PC 용량을 차지하게 되는데, 혹시 용량 정리를 하고 싶다면, [시작 버튼 + X]를 누르고, 관리자 프롬프트를 실행해주세요.



▼ 검은색 배경을 명령 프롬프트 화면이 열였을 땐, 명령어로 [powercfg -h off]를 적고 엔터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럼 기능이 꺼지는 동시에 용량도 정리될 거예요.



기능을 다시 풀고 싶을 땐 명령어에서 off 대신 on을 적어주면 되겠죠? 그럼 이번 글은 갈무리를 할게요!